[오늘의 언론보도] 2025년7월29일(화) 뉴스
7월29일자 대부분의 주요일간지는 미국이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과도 15%의 상호관세에 합의했다는 내용을 주요 머릿기사로 보도했다.
□동아일보□
한국 수출의 양대 기둥인 자동차와 반도체가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휘청거리고 있다. 미국 시장 최대 경쟁자 일본에 이어 유럽까지 15%로 자동차 관세를 하향 조정했는데 우리 자동차만 여전히 25% 고관세를 적용받을 위기에 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품목에 대한 관세를 2주 안에 발표하겠다고 예고하면서 반도체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조선일보□
미국과 유럽연합(EU)이 27일(현지 시각)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EU도 일본처럼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모두 15%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대미 주요 자동차 수출국 중 한국만 관세 협상을 타결하지 못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26일 영국 스코틀랜드로 가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추가 협상을 진행했다.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란 뜻이다. 28일엔 김동관 한화 부회장도 대미 협상 측면 지원을 위해 긴급 방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우상호 정무수석은 농산물 개방, 국방비 증액, 미국산 무기 구매 등이 “협상 목록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중앙일보□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 승부수로 ‘마스가’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을 담은 ‘마스가’는 수십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다. 28일 대통령실과 정부 부처 등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5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의 뉴욕 자택에서 진행된 관세 협상에서 이를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구호인 ‘마가(MAGA)’에서 따왔다.
□국민일보□
미국이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과도 15%의 상호관세에 합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주요 교역국인 일본과 EU에 기존 관세율을 대폭 인하한 15%에 합의해주면서 한국으로서도 15%가 반드시 사수해야 할 ‘레드라인’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회담한 뒤 EU 제품에 1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EU는 관세율을 기존 30%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미국에 천문학적인 투자와 에너지 수입 등을 약속했다
□경향신문□
북한이 28일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를 향해 내놓은 첫 공식 반응이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사진)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조한(남북)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담화에서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북한이 이재명 정부 출범 54일 만에 처음으로 내놓은 입장이다. 대남 정책의 기조가 정리된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신문□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이 ‘명태균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28일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조은석 특별검사팀(내란 특검)은 이날 12·3 계엄 당시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와 안가 회동 의혹을 받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3대 특검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수사 고삐를 죄고 있다. 특검은 오전부터 이 대표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이 대표가 개혁신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된 지 하루 만이다.
□한겨레□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8일 비상계엄 당시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을 받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12·3 내란사태 이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제외하고 처음으로 국무위원 구속영장이 청구된 사례다. 이 전 장관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은 오는 31일 오후 2시에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 전 장관에 대해 내란중요임무종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위증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범죄의 중대성과 증거인멸 우려, 재범 위험성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