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이재명 대통령이 대미 외교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마쳤다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5827() 뉴스


827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한·미 양국 기업이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를 본격화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무역 합의(a deal done)가 마무리됐다한국이 원래 합의한 대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합의 변경을 요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관세 합의의 틀을 유지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5(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이 대통령과 회담을 마친 후 진행한 포고문 서명식에서 한국과 무역 협상에 대해 결론 내렸느냐는 질문에 합의가 마무리된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선일보

 

이재명 대통령이 25(현지 시각) 대미 외교의 첫 시험대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마쳤다. 회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내 특검 수사에 대해 비난성 글을 소셜미디어에 올리고 회담 시간도 32분 늦춰지면서 돌발 상황우려가 나왔으나 회담은 2시간 20여 분 동안 화기애애하게 진행됐다. 이 대통령이 한미 관계에서 첫 관문을 통과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에게 스마트하다당신은 미국에서 완전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 필요성에도 의견이 일치했다.

 

중앙일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북·미 회담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 대통령이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만나 달라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저의 관여로 남북관계가 개선되긴 쉽지 않은 상태인데, 실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평화) 메이커를 하면 저는 페이스메이커(pacemaker·경주에서 기준 속도를 만드는 선수)’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과 큰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경향신문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한·미 양국 기업이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를 본격화했다. 특히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중심으로 하는 원자력 협력 프로젝트, 일명 ‘MANGA’(Make America Nuclear power Great Again)가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행사에서 김정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양국 기업들이 조선, 원자력, 항공, 액화천연가스(LNG), 핵심 광물 등 분야에서 총 11건의 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이재명 대통령은 25(현지시간)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노선과 관련해 한국이 과거처럼 이 같은 태도를 취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됐다고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동맹 현대화에 뜻을 모은 데 이어 안보뿐 아니라 경제에서도 미국과 협력을 강조하는 미국 우선 외교 기조를 밝힌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강연에서 혹자는 한국이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고 경제적 실익은 다른 곳에서 취한다는 의문을 제기한다는 질문이 나오자 이같이 답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에 대한 강력한 견제, 심하게 말하면 봉쇄 정책을 본격 시작하기 전까지 안미경중 입장을 가져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한겨레

 

이재명 대통령은 25(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한-미 동맹을 군사·경제·과학기술 분야를 포괄하는 미래형 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올해 안에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답변도 이끌어냈다. 첫 만남에서 두 정상이 깊은 신뢰와 유대감을 형성한 것은 의미가 크지만 통상·투자 분야에선 여전히 합의해야 할 구체적인 쟁점들이 남아 있어 진짜 청구서가 날아들기까지는 긴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