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언론사마다 중국 특파원 기피 현상 심화 최근 중국 특파원 30명대로 급감

미디어뉴스

언론사마다 베이징 특파원을 구하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임기가 만료된 특파원을 대신해 후임자를 보내야 하는데 공모에 재공모를 거쳐도 지원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중국 특파원 기피 현상은 언론사마다 대체로 비슷하다.


YTN은 최근 베이징 특파원 선발 공고를 내며 지원 기준을 기존 10년 이상에서 7년 이상으로 완화했다.


임기 만료된 특파원을 대신해 후임을 물색했지만 적임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조선비즈는 아예 6년차 기자를 베이징 특파원으로 발령 내는 이례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서울경제신문과 아주경제도 현 특파원들의 임기를 1년씩 연장했고, 연합뉴스도 베이징 특파원 구인에 애를 먹고 있어 전임자 재파견을 고려하고 있다.


기자들이 베이징 특파원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만만치 않은 생활 여건이다.



외국인용 물가, 내국인용 물가가 따로 존재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베이징은 외국인 생활물가가 비싼 도시다.



베이징 특파원으로 일했던 A 기자는 물가가 매우 빠른 속도로 올라 지금은 베이징과 서울이 별 차이가 없는데도 언론사마다 중국 체재비는 대부분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가족을 동반한 특파원에겐 자녀 교육 문제도 큰 부담이다.



중국어를 원어민처럼 할 수 없으면 국제학교에 보내야 하는데, 국제학교 학비는 연간 5000만원 이상이 든다.



이 때문에 최근 베이징에 부임하는 특파원은 대부분 젊은 여성으로, 가족을 동반하지 않고 홀로 파견을 가고 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