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북, 우크라전에 1만2000명 지원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41021() 뉴스

 

 

1021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국가정보원이 북한군 12000명 러시아 파병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북한이 최정예 특수부대 1500명을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치르는 러시아에 이미 파병하면서 우리 정부도 우크라이나가 가장 필요로 하는 155mm 포탄을 미국을 통해 추가로 우회 지원하는 방침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나온다. 특히 북한이 추가로 병력을 보내면 그 규모가 12000명에 달할 것으로 파악된 만큼, 정부는 우선 추가 파병 차단에 최대한 집중 될 방침이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군 파병 규모가 급속도로 늘어나면 한국에 대한 미국이나 우크라이나 등 국제사회의 무기 지원 요구도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강해질 것이라며 우리도 우크라이나에 어떻게 지원할지 등 문제에 대해 재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조선일보

 

 

국가정보원이 북한군 12000명 러시아 파병을 결정했다고 발표한 이후, 러시아에서의 북한군 활동을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 현지 동영상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개됐다. 우리 정부는 이를 이미 파견된 북한군의 전장 투입이 임박한 정황이라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 파병과 관련해 우방국(미국)과도 긴밀히 정보 협력을 하고 있다이번 사안의 경우, 우방국(미국) 정보보다도 우리가 북한에 대해 가진 정보가 더 많을 수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으로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북·러 간 불량 동맹의 실체가 가시화하고 있다. 합법적 핵보유국인 러시아가 전쟁에서 불법적 핵 개발국인 북한의 본격적 도움을 받는 건 그 자체로 확장억제를 기반으로 북한의 위협을 억지해온 한·미 동맹에 대한 도전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이에 어떤 위험한 이면 거래가 존재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러 동맹의 지속성에 따라 한반도가 냉전 회귀의 무대가 될 우려도 있다.

 

 

경향신문

 

 

국가정보원이 북한 전투병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을 공식 확인하며 한반도 안보지형에 지각변동이 가시화하고 있다. ··일 대 북·러의 신냉전 구도가 강화하면서 러시아를 한국의 실질적 안보위협 대상으로 간주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 정부가 북한군의 실질적 활동을 지켜본 뒤 대응 방향을 세밀하게 조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국정원은 지난 18일 북한 특수부대 1500명이 러시아로 1차 이송됐고 향후 총 12000명이 파병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수부대 파병에 앞서 152포탄·KN-23 미사일(북한판 이스칸데르) 등의 북한 무기 지원도 이뤄졌다.

 

 

한겨레

 

 

매주 서울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촛불승리전환행동(촛불행동)의 회원 명단을 경찰이 강제수사를 통해 확보한 사실이 드러났다. 2년 전 고발된 사건을 올해 들어 일선 경찰서에서 서울경찰청으로 넘기고 최근엔 이 단체의 전직 회계 담당자까지 소환 조사하면서 윤 대통령 퇴진 주장에 재갈을 물리려는 압박 수사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지난달 26일 촛불행동의 회원관리프로그램 업체를 압수수색해 6300여명의 회원 명단(성명, 연락처, 후원 금액, 후원자별 후원 일자, 입금자 메모)과 촛불행동의 후원금 총액, 출금액 정보를 확보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애초 경찰은 촛불행동 회원들의 출금계좌 정보도 압수 대상에 포함했으나 이는 법원에서 기각됐다.

 

 

국민일보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삼성 위기론과 관련해 삼성이 앞서 있는 메모리반도체 부문을 발판으로 지능형반도체(PIM) 등에서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회사) 생태계와의 협업을 이어가면 다시 기회가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넘어서는 인공지능(AI) 반도체의 브레이크스루(돌파구)가 언젠가 찾아올 것이라며 이러한 견해를 밝혔다.

 

 

한국일보

 

 

행정안전부 소속 공무직 근로자 2300명의 정년이 단계별로 만 60세에서 65세로 연장된다. 중앙 부처에서 직종과 관계없이 공무직 전체 정년을 연장한 곳은 행안부가 처음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국민연금과 노동개혁 등과 직결된 정년 연장 이슈를 공무직부터 공론화하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