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5년11월12일(수) 뉴스
11월12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된 황교안 전 국무총리 집에서 체포하고,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하고 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경향신문□
12·3 불법 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가 27일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상대로 압수수색에 나섰다. 황 전 총리는 계엄령이 선포된 상황에서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체포하라고 글을 올렸다가 고발당했다. 특검은 황 전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 등 불법 계엄 핵심 피고인들과 공모해 내란을 선동했을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수사를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한겨레□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2일 오전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된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상대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섰다. 특검팀은 앞서 황 전 총리의 주거지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두 차례 시도한 바 있으나 황 전 총리의 거부로 불발된 바 있다. 이후 특검은 계속되는 황 전 총리의 강제수사 거부를 이유로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황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이 진행 중인 지난 3월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헌재가 윤 전 대통령 탄핵 소추를 인용한다면 폭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발언해 시민단체로부터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됐다.
□동아일보□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12일 내란 선전·선동 혐의를 받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체포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자택에서 황 전 총리를 체포했다. 특검은 황 전 총리에게 함께 발부돼 있는 압수수색 영장 집행까지 모두 마친 뒤 조사실로 압송한다는 방침이다.앞서 특검은 지난달 27일 황 전 총리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9시간 가까운 대치 끝에 무산됐다. 당시 황 전 총리 측이 문을 열어주지 않고, 자택 일대에 지지자들이 모이면서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할 것을 고려해 철수했다.
□조선일보□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이 12일 오전 묵묵부답으로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 출근했다.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이후 내부 반발이 잇따르고 ‘법무부 외압 논란’까지 불거진 상황에서도 침묵한 것이다. 노 대행은 이날 출근길에서 “용퇴 요구가 나오는데 입장이 있으시냐”, “이진수 법무부 차관으로부터 수사 지휘권에 대한 언급을 들으셨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청사로 들어갔다.
□중앙일보□
대장동 항소 포기'로 사퇴 압박을 받는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찰청 차장검사)이 12일 출근길 취재진의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노 대행은 이날 오전 8시 40분쯤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 출근하며 '용퇴 요구 나오는데 입장 있나', '이진수 차관으로부터 수사지휘권에 대한 언급을 들은 적 있는지' 등 질문에 별다른 대답을 하지 않은 채 청사 내부로 들어갔다. 노 대행은 검찰 내부에서 항소 포기에 대한 책임론이 커지자 전날 하루 연차휴가를 쓰고 자택에서 거취를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대장동 개발비리 사건에 대한 항소 포기 지휘로 검찰 내부에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대검찰청 차장)이 11일 자진 사퇴 수순에 들어갔다. 노 대행이 물러나게 되면 검찰 수뇌부 공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청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시행을 10개월여 앞두고 벌어진 이번 사태로 검찰이 기능 상실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민일보□
이재명정부가 12·3 비상계엄에 가담·협조한 공직자들을 추려내 인사 조치를 하기 위한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TF)’를 11월 중 발족한다. 정부는 두 달여간 49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의 불법행위 가담 여부를 조사해 내년 2월 불이익 인사 조치를 단행할 방침이다. 대대적인 ‘공직자 내란 검증’이 시작되면서 전임 정부에서 요직에 기용된 공직자에 대한 대대적 물갈이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