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3년 12월13일(수) 뉴스
12월13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과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협력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양국 정부 간 직접 소통 채널을 강화하고 필요한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네덜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 시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함께 세계 유일의 반도체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생산 기업인 ASML 본사의 ‘클린룸’을 방문했다. 윤 대통령은 향후 반도체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2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공정 기술력을 갖춘 ASML의 노광장비를 시찰했다. 최첨단 파운드리 공정인 2nm 기술 우위를 차지할 경우 660조 원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대만의 TSMC가 우세한 것으로 평가되는 2nm 기술 추격을 위해 대통령과 핵심 반도체 기업 총수들이 머리를 맞댄 것이다.
□조선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12일(현지 시각) 네덜란드 펠트호번에 있는 세계적 반도체 장비 기업 ASML 본사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함께 방문했다.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삼성전자와 ASML은 차세대 반도체 제조 기술 연구개발(R&D) 센터를 한국에 설립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윤 대통령이 해외 순방에서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적은 있지만, 기업을 직접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ASML이 제조 시설이 없는 해외에 R&D 센터를 짓는 것도 처음이라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서울신문□
네덜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반도체 장비업체 ASML 본사에서 2나노 이하 미세공정 반도체 구현에 필요한 차세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빛으로 웨이퍼에 회로를 새기는 장비) 생산 공정을 시찰했다. ASML에서 이 생산 공정을 대외에 공개한 건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글로벌 기업들이 2나노 반도체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이번 ASML과의 협력 강화가 반도체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국민일보□
친윤(친윤석열)계 핵심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이 내년 4월 총선 불출마를 12일 공식 선언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지도부·친윤계·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후속 희생’ 결단이 나올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장 의원이 혁신의 불씨를 되살린 만큼 ‘희생 릴레이’가 계속돼야 한다는 기류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의원들 사이에서는 ‘다음 주자’로 강제 지목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도 감지된다. 특히 ‘김·장(김기현-장제원) 연대’로 당권을 차지했던 김기현 대표에 대한 압박도 강해지는 모양새다
□중앙일보□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3.1% 올랐다. 근원 물가는 10월(4%)과 같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치가 나오면서 내년 피벗(Pivot·통화정책 전환) 기대가 재차 힘을 받을 수 있게 됐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달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시장 전망치(3~3.1%)에 부합하면서 10월(3.2%)보다 상승 폭을 줄였다. 에너지 가격이 지난달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향신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실상 독점해온 공공주택 시장이 LH와 민간건설업체 경쟁 체제로 전환되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LH 혁신 방안 및 건설 카르텔 혁파 방안’을 발표했다.이번 대책은 지난 4월 인천 LH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철근 누락’과 같은 부실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LH의 과도한 권한과 전관 영향력을 축소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