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4년 5월17일(금) 뉴스
5월17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대세론이 나오던 추미애 당선인을 꺾고, 22대 첫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됐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중앙일보□
국회의장 후보를 뽑기 위해 16일 치러진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우원식 의원이 추미애 당선인을 꺾었다. 경선 결과 발표 직후 민주당 의원들이 “오…”라고 감탄사를 내뱉을 정도의 이변이었다. 우 의원은 국회의장이 되려면 본회의 투표까지 거쳐야 하지만 민주당이 과반 의석(171석)을 차지하고 있어 우 의원은 22대 국회 상반기 국회의장으로 사실상 확정된 셈이다. 우 의원은 “앞의 국회와는 완전히 다른 국회가 될 것”이라며 “여야 협의를 중시하지만, 민심에 어긋나는 퇴보나 지체가 생긴다면 국회법에 따라 처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5선의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선출됐다. 우 의원이 친명(친이재명)계의 공개 지지를 받았던 6선의 추미애 당선인을 꺾고 국회의장 후보로 확정된 데는 과도한 ‘명심(明心·이재명 대표의 의중) 경쟁’이 불러온 역풍, 추 당선인에 대한 반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 총회에서 재적 169표 중 89표를 얻어 국회의장 후보로 확정됐다. 80표를 얻은 것으로 알려진 추 당선인을 9표 차로 제쳤다. 우 의원은 다음 달 5일 예정된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과반 득표를 얻으면 국회의장이 된다.
□경향신문□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67·사진)이 선출됐다.
민주당은 16일 국회에서 당선자 총회를 열고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우 의원을 선출했다. 국회의장은 다음달 5일 열리는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서 표결을 통해 확정된다. 원내 1당이 국회의장을 내는 것이 관례였고, 민주당의 당선인 수도 가결 요건인 재적 의원 과반이어서 그의 선출은 사실상 확정적이다. 5선이 되는 우 의원은 고 김근태 전 상임고문의 계파인 재야 모임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에서 활동하다 17대 총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했다. 당내 ‘을지로위원회’(을 지키는 민생실천위원회)를 이끌며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주도해왔다.
□서울신문□
더불어민주당이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5선이 되는 우원식(67·서울 노원갑) 의원을 선출했다. ‘어의추’(어차피 의장은 추미애 당선인)라던 당내 정서를 뒤집는 이변을 일으킨 우 의원은 다음달 5일 열리는 민주당이 과반인 22대 국회의 첫 본회의에서 표결로 의장에 오른다. 우 의원도 친명(친이재명)계이자 국회의장의 기계적 중립을 거부했다는 점에서 민주당의 입법 독주가 힘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정치권에선 ‘강성 매파’인 추 당선인과 비교하면 여당에 다소나마 숨통이 트였다는 시각도 있다.
□한겨레□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이 최근 북한이 개발 중인 무기체계들에 대해 “서울이 허튼 궁리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데 쓰이게 된다는 것을 숨기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김 부부장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를 통해 “최근 우리가 공개한 방사포들과 미사일 등의 전술무기들은 오직 한가지 사명을 위해 빚어진 것들”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김 부부장은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우리가 이미 여러 차례 표명한 바와 같이 착견과 허구로 엮어진 ‘조로무기거래설’은 그 어떤 이여의 평가나 해석을 달만한 가치도 없는 가장 확당한 억설”이라며 “최근에 우리가 개발 및 갱신한 무기체계들의 기술은 공개할 수 없는 것들이며 따라서 수출이라는 가능성 자체가 논의될 수 없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의대 교수와 전공의(인턴, 레지던트), 의대생 등이 의대 증원 절차를 중지해 달라며 정부를 상대로 신청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에서 항고심 법원이 정부 손을 들어주며 27년 만의 의대 증원이 현실화됐다. 정부가 올 2월 6일 ‘2000명 증원’을 발표한 지 꼭 100일 만이다. 다만 전공의 사이에선 “돌아갈 이유가 없어졌다”는 말이 나오고 의대 교수 사이에선 사직과 휴진이 확산될 것으로 보여 의료 공백이 한층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