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4년 6월21일(금) 뉴스
6월21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대통령실이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에 강한 우려를 표하며, 러시아 수출 통제 강화는 물론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문제를 재검토하겠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대통령실이 북-러 조약을 규탄하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기존 방침을 재검토하겠다고 20일 밝혔다. 정부는 이미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절차에 대한 법적 검토를 모두 마쳤으며, 무기 지원 시 155mm 포탄이나 대전차 유도탄 등 탄약부터 우선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의 뒤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를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향신문□
대통령실이 북한과 러시아의 상호 군사 지원 약속을 비판하며 러시아와 전쟁을 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북·러관계가 사실상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됐고, 이는 심각한 안보 위협 요소라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또 군사적 대비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북·러는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으면 지체 없이 군사적 원조를 제공하고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는 공동 대응하기로 약속했다. 한반도가 냉전적 진영 대결의 장으로 전락했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선일보□
북한과 러시아가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으면 지체 없이 군사 원조를 한다는 내용이 담긴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고 20일 이를 공개했다. ‘침공받을 경우 지체 없이 군사 원조’는 1961년 체결됐다가 1996년 폐기된 ‘조·소(구소련)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에 담겼던 내용으로,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이 사실상 복원된 것으로 해석된다. 북·러 관계가 냉전 시대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우리 정부는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 지원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중앙일보□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대해 정부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카드를 꺼냈다. 대통령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20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주재한 후 언론 브리핑을 통해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해 상호 군사·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데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하며 이를 규탄한다”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경고했다. 그간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북·러가 사실상 군사동맹 수준의 협력 강화에 나서자 정부는 그동안 러시아와의 관계를 의식해 꺼려 왔던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서울신문□
북한과 러시아가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으면 상대에게 지체 없이 군사적 원조를 제공하기로 합의한 데 대해 정부는 20일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문제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북러는 냉전 시대였던 1961년 ‘조소 동맹조약’에 담긴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을 사실상 부활시키며 동맹 체제를 복원했다. 한반도 문제에 러시아가 군사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열리자 정부가 강력 대응 방침을 밝힌 것으로, 향후 한미와 북러 간 갈등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
채 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이 20일 야당 단독으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 제1소위원회를 통과했다. 야당은 21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채 상병 순직 사건의 핵심 관계자들이 총출동하는 입법청문회를 열어 특검법 처리의 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민일보□
세계 곳곳이 최악의 불볕더위로 신음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 등지에서는 폭염 때문에 1000명 넘게 사망했고, 미국 동북부에서는 전력 수요가 폭증하며 일부 발전소가 멈춰섰다. 개최를 한 달여 앞둔 파리올림픽을 두고도 선수들이 위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섭씨 52도에 달하는 폭염으로 인해 사우디 메카와 메디나에서 정기 성지순례(하지)를 하던 각국 무슬림 1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