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군, 9·19 합의 중단 뒤 첫 ‘포격 훈련'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4627() 뉴스

 

627일자 대부분의 주요일간지는 우리 군이 9·19 남북군사 합의로 중단했던 연평도와 백령도 등에서의 포격 훈련을 7년 만에 재개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26일 인천 옹진군 대연평도. 북한과 지척인 서북도서에 배치된 해병대의 K-9 자주포가 바다를 향해 일제히 불을 뿜었다. 문재인 정부 초기인 20178월 이후 처음으로, 7년 만에 서북도서 해상사격이 실시된 것. 앞서 2018년 체결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채워진 해상사격 금지 족쇄가 이날 완전히 풀린 것이다.

앞서 정부는 오물풍선테러 등 북한의 도발이 수위를 넘자 이에 맞서 49·19 합의 효력을 전면 정지시켰고, 22일 만인 이날 서북도서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하지만 북한은 24, 25일 밤 이틀 연속 오물풍선을 날린 데 이어 이날 새벽엔 미사일까지 발사하며 노골적으로 또 긴장 수위를 끌어올렸다. 다만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비행 중 공중 폭발했다.

 

중앙일보

 

백령도 주둔 해병대 제6여단의 K9 자주포가 26일 남서쪽 공해상 가상의 표적을 향해 발사되고 있다. 이날 6연대와 연평도 주둔 연평부대는 K9 자주포와 다연장로켓 천무, 스파이크 미사일 등 총 290여 발을 공해상으로 발사했다. 해병대의 서북도서 정례 해상사격훈련은 9·19 군사합의 체결 11개월 전인 20178월이 마지막으로 610개월 만이다.

 

서울신문


북한의 미사일 발사 및 오물풍선 부양 도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체결 등 북러 간 밀착에 따라 동북아 안보 질서에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우리 군이 269·19 남북군사합의로 중단됐던 서북도서 사격훈련을 약 7년 만에 재개했다. 또 이날 한미 공군이 참가한 쌍매훈련에서는 최초로 미 공군 F-22 ‘랩터스텔스가 참가했다. 북한의 잇단 도발에 따른 강대강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면서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안보 역량 과시를 통해 대북 억지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물밑 외교 노력을 병행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한겨레

 

서해 백령도와 연평도 해병부대가 20178월 이후 7년 만에 정식으로 26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이 모두 정지되고 시행된 첫 서북도서(연평도·백령도 등 서해5) 해상사격훈련이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는 해병대 제6여단(백령도)과 연평부대(연평도)가 이날 오후 25분부터 한 시간 가량 부대별 작전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들 부대는 케이(K)-9 자주포, 다연장로켓 천무’, 북한 황해도 해안포를 정밀 타격하는 미사일 스파이크등 모두 290여 발을 남서쪽 해상 가상의 표적을 향해 사격했다. 북한은 이날 밤 오물 풍선을 다시 띄워보냈다

 

경향신문

 

원희룡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는 27일 당권 경쟁주자인 한동훈 후보에 대해 수사검사하다가 윤석열 대통령과의 친분 때문에 법무부 장관 한 게 전부라며 “(검사에서) 대통령 직행하고 당대표 직행하는 건 윤 대통령 한 분으로 끝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후보는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해 “(한 후보가 당대표가 되는 건) 본인도 불행해지고 우리 모두가 정말 불행해지는 결과라며 지금 두려워하고 있고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