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4년7월5일(금) 뉴스
7월5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진숙 전 대전 MBC 사장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지명한 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이 “방송은 지금 공적 그릇이자 우리 삶을 지배하는 ‘공기’가 아니라 ‘흉기’로도 불린다”고 밝혔다. 야당의 탄핵 추진으로 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이 2일 사퇴한 지 이틀 만에 후임으로 지명된 이 후보자가 강경한 입장을 담은 지명 소감을 밝히고, 더불어민주당이 “MBC 등 공영방송 3사의 이사진 선임 계획을 강행하겠다는 선전포고”라며 탄핵 추진을 시사하면서 공영방송 이사진 교체를 둘러싼 여야 대립이 더욱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
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이 4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되면서 ‘2인 체제’ 방통위의 강경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사들의 임기 종료가 가장 임박한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진이 여권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고, 새 이사진 구성에 따라 현 MBC 사장이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야당과 언론계는 “윤석열 정부의 공영방송 장악 의지를 보여주는 후보 지명”이라며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대선 캠프 언론특보 출신인 이진숙(63) 전 대전문화방송(MBC) 사장을 지명했다. 야당의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보고를 앞두고 김홍일 방통위원장이 자진 사퇴한 지 이틀 만이다. 야당과 언론단체들은 “방송 장악 대국민 선전포고”라고 반발했다.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이 후보자 지명 사실을 알리며 “방송통신위원회의 운영을 정상화하고, 미디어 공정성과 공공성을 확보해 방송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적임자”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에 이진숙(63) 전 대전 MBC 사장을 지명했다. 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이 자진 사퇴한 지 이틀 만이다. 또 환경부 장관 후보에 김완섭(56) 전 기획재정부 2차관, 금융위원장 후보에 김병환(53) 기획재정부 1차관을 지명했다. 정진석 비서실장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장·차관급 인선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이 바로 방통위원장을 지명한 것은 수장 공백으로 방송통신 업무에 차질이 생겨서는 안 된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민일보□
채상병 특검법이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에 막혀 폐기된 지 37일 만에 국회를 다시 통과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국회를 파탄시켰다”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22대 국회 개원식 불참을 요청했다. 5일로 예정됐던 국회 개원식은 결국 무기한 연기됐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4일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190명 중 찬성 189명으로 채상병 특검법을 가결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우원식 국회의장의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강제 종료에 반발하며 표결에 불참했다. 다만 안철수 의원과 김재섭 의원은 표결에 참석해 각각 찬성표와 반대표를 던졌다.
□조선일보□
지난 2일 오후 4시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 응급의료센터는 응급 환자 35명에 이들의 보호자까지 섞여 북적였다. 이곳에 있는 환자 중 15명(42.9%)은 경증 환자였다. 응급실 환자 절반 가까이는 동네 병의원에서도 충분히 치료받을 수 있는 골절이나 타박상, 단순 복통 등의 환자였다. 한철 응급진료부장(응급의학과 교수)은 “매일 오는 환자 130~140명 중 40% 정도가 비응급·경증 환자”라며 “그만큼 중증·응급 환자를 받을 여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 동의한 사람이 4일 110만명을 넘자 강성으로 분류되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윤 대통령 부부를 증인으로 채택해 청문회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0일 올라온 이 청원은 사흘 만인 23일 5만명의 동의를 받아 법사위 안건으로 자동 회부됐다. 민주당은 2일 국회 본회의 표결을 통해 검사 4명(강백신·엄희준·박상용·김영철)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법사위에 회부했다. 이재명 전 대표가 연루된 대북송금·대장동 의혹을 수사한 검사가 포함됐다. 친명계 장경태 최고위원은 “억울하면 법사위에 나와서 전 국민 앞에서 소명하라”고 말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