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2년9월5일(월) 뉴스
9월5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초속 44m(시속 158km) 이상의 강한 태풍이 6일 오전 경남에 상륙할 것이라는 기사를 주요뉴스로 보도했다.
□동아일보□
4일 기상청에 따르면 힌남노는 5일 오전 9시 제주 서귀포 남서쪽 약 460km 해상까지 북상한다. 4일까지 ‘매우 강’이었던 힌남노는 이 시기 최대 풍속이 초속 54m(시속 194km) 이상인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보인다 .힌남노는 이후 ‘매우 강’ 상태로 6일 오전 8시경 경남 통영과 거제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매우 강’ 단계 역시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아갈 정도의 거센 바람이 분다. 기상청 관계자는 “(힌남노 경로에) 변동성이 있다. 현재 예측 경로보다 더 서쪽으로 진행해 국내 영향이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관측 사상 가장 강한 위력을 지닌 채 한반도에 다가서고 있는 11호 태풍 ‘힌남노’는 6일 새벽 제주 서귀포시 부근 30㎞ 해상에 상륙하는 것을 시작으로 통영·거제를 거쳐 이날 오전 중 부산·울산을 차례로 훑고 지나갈 것으로 4일 전망됐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중앙안전대책본부 위기 대응 수위를 1단계에서 3단계로 곧바로 격상시켰다. 최근 5년간 태풍 16건 중 중대본 대응이 3단계까지 올라간 건 4번 있었고, 1단계에서 바로 3단계로 격상한 건 힌남노가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용산 대통령실 지하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태풍 대비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공직자들은 선조치, 후보고 해달라”며 “즉각적인 피해 복구책과 더불어 인명 피해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가 초강력 태풍으로 성장해 역대급 피해를 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과 6일에 걸쳐 전국에 시간당 100㎜에 이르는 강한 비, 바람과 함께 해안 지역에는 폭풍 해일도 예상된다.윤석열 대통령은 4일 용산 대통령실 지하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힌남노’ 대비 관련 회의를 열고 “정부가 한발 앞서 더 강하고 완벽하게 대응해 달라”고 지시했다.윤 대통령은 “추석을 앞두고 이번 태풍이 발생해 마음이 무겁다”며 “특히 반지하 주택지와 해안가 저지대 등 취약계층과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또 “태풍과 같이 진로가 예측 가능한 기상 상황의 경우 선제적 대처가 중요하다”며 “공직자들은 선(先)조치 후(後)보고해 달라”고 독려했다.
□경향신문□
지구 한편에서는 폭우가 내려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다른 편에서는 폭염과 가뭄으로 강바닥이 말라붙었다. 모든 재난의 직접적인 원인을 찾기는 어렵지만, 재난들을 꿰는 열쇳말은 이제 명확하다.
□서울신문□
4일 법무부 등에 따르면 대체역으로 소집을 기다리고 있는 누적인원은 2020년 12월 624명에서 지난 4월 1436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대체복무제는 헌법재판소가 지난 2018년 대체복무를 규정하지 않은 병역법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2020년 10월부터 시행됐다.
□한겨레□
정부가 경북 성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에 지상 접근을 주 7일 언제라도 가능하도록 하는 조처에 돌입했다. ‘사드 기지 정상화’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사드 반대 단체는 “야음을 틈타 주민들의 뒤통수를 쳤다”며 반발했다.
성주 주민과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사드철회 소성리 종합상황실’은 이날 오전 1시30분께 불도저 등 공사 장비와 유류차 1대, 승합차 등이 사드 기지에 반입됐다고 전했다.
□국민일보□
경기도 용인특례시는 최근 생활임금위원회를 열고 2023년도 용인시 생활임금을 시급 1만1190원으로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이는 올해보다 3.4% 인상한 수치다.
생활임금은 근로자의 주거비, 교육비, 문화비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유지하며 실질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각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임금을 말한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