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5년4월21일(월) 뉴스
4월21일자주요일간지 대부분은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민주당 지역순회 경선 첫 주에 90%에 가까운 득표율을 거두며 압승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민주당 지역순회 경선 첫 주에 90%에 가까운 득표율을 거두며 압승했다. 이 전 대표는 영남권(대구·울산·부산·경북·경남) 경선에서 90.81%, 충청권(대전·충남·세종·충북) 경선에서 88.15%로 각각 1위에 올라 누적 89.56%로 독주 체제를 이어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영남권 3.26%, 충청권 7.54%(누적 5.27%)이었고,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영남권 5.93%, 충청권 4.31%(누적 5.17%)로 모두 한 자릿수 득표율에 그쳤다. 민주당 경선이 ‘90 대 5 대 5’의 압도적 1강 구도로 흐르고 있는 것이다.
□조선일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첫 지역 순회(충청권·영남권)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90%에 육박하는 득표율로 1위를 했다. 민주당은 이번 주말엔 호남권·수도권 등 나머지 지역 경선을 치른다. 민주당에선 이 후보가 과거 압도적인 득표율로 경선에서 승리해 대통령에 당선됐던 김대중·박근혜 전 대통령도 근접하지 못한 득표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상 당선 가능성이 가장 큰 후보다. 국회 과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유력 대선 후보의 등장이 임박했다는 것이다.
□서울신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민주당 영남권 대선 경선에서 9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에 올랐다. 이 전 대표는 전날 충청권 경선 승리에 이어 이날 영남권 경선에서도 여유 있는 승리를 거두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에 한발 더 다가서게 됐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열린 영남권 대선 경선에서 전국대의원 및 권리당원 투표 합산 90.81%를 기록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기호순)는 각각 5.93%, 3.26%에 그쳤다
□한겨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0일 영남권 순회경선에서 90%가 넘는 지지를 얻었다. 네차례 진행되는 민주당 순회 경선은 이날까지 절반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 후보는 민주당의 제21대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영남지역(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경선에서 90.81%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김경수 후보는 5.93%, 김동연 후보는 3.26%를 얻는 데 그쳤다. 전날 충청권 경선 결과를 더한 누적 득표율은 이재명 후보 89.56%(12만3583표), 김동연 후보 5.27%(7271표), 김경수 후보 5.17%(7131표) 순서다. 투표율은 충청권(57.62%), 영남권(70.85%) 모두 지난 대선에 견줘 10%포인트가량 올랐다. 당원들의 정권교체 바람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란 평가가 나온다.
□국민일보□
더불어민주당 대선 1주차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압도적 1위’ 질주를 이어갔다. 이 후보는 김경수·김동연 후보의 득표율을 합한 것보다도 무려 80% 포인트 가까이 앞서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임을 재확인시켰다.
이 후보는 지난 19일과 20일 충청권(대전·충남·세종·충북)과 영남권(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에서 진행된 순회경선에서 각각 88.15%와 90.81%를 득표했다. 충청권과 영남권 득표수를 합하면 유효투표 13만7985표 중 12만3583표를 얻어 합산 득표율 89.56%를 기록했다.
□경향신문□
한국 정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협상이 이번주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이번주 중 미국 워싱턴에서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를 열 계획”이라며 “우리 측에서는 최상목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참석하고,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일정은 조율 중이지만 24~25일(현지시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
통상 협의에는 우리 측 경제사령탑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통상수장인 안덕근 산업부 장관, 미국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무역정책 책임자인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여한다.안 장관이 23일 출국하는 점을 감안할 때 양측이 마주앉을 날짜는 24∼25일(현지시간)이 유력해 보인다. 정부는 미국산 가스·원유·농산물 수입 확대, 조선 협력 등 양국의 무역불균형 개선과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 등을 패키지로 미국에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