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8·15 광복절 특별사면... ‘조국 사면’ 여부 결정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5811() 뉴스


811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이재명 대통령이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 등의 8·15 광복절 특별사면 여부를 결정한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다루었다.

 

 

동아일보

 

이재명 대통령이 11원포인트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 등의 8·15 광복절 특별사면 여부를 결정한다고 대통령실이 10일 밝혔다. 이 대통령은 조 전 대표 등 정치인에 대한 사면·복권을 사실상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11일 오후 230분 임시 국무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라며 특별사면·특별감형·특별복권 및 특별감면조치 등에 관한 건을 심의·의결할 예정이라고 했다. 당초 예정했던 12일 국무회의를 하루 앞당긴 11일 임시 국무회의를 통해 사면·복권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 대통령실은 11일 임시 국무회의를 생중계하지 않고 비공개로 진행할 방침이다.

 

중앙일보

 

이재명 정부의 첫 특별사면 대상자 명단에 조국·윤미향·최강욱 전 의원 외에 윤건영 의원,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 등 친문계가 대거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오후 230분 임시국무회의를 열고 광복절 특별사면·감형·복권 등에 관한 안건을 심의·의결한다. 당초 12일 정례 국무회의에서 사면이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지만사면 안건만 하루 앞당겨 의결하겠다는 의미다.

 

한겨레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8·15 광복절 특별 사면 대상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이 자리에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최강욱·윤미향 전 의원 등의 사면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0일 공지를 통해 내일(11) 오후 230분 제35회 임시 국무회의가 개최된다회의에서는 특별사면·특별감형·특별복권 및 특별감면조치 등에 관한 건이 심의·의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신문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을 확정한다. 예정됐던 국무회의를 하루 앞당겨 개최하는 것으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 등 정치인 사면 논란을 조기에 매듭짓고 국정 운영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0일 공지를 통해 내일(11) 오후 230분 제35회 임시 국무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라며 안건은 일반안건 1건으로, 특별사면·특별감형·특별복권 및 특별감면조치 등에 관한 건을 심의·의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계일보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11일 오후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광복절 특별사면·복권안을 심의 및 의결해 발표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0일 언론 공지를 통해 내일(11) 오후 230분 제35회 임시 국무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라며 안건은 일반안건 1건으로, 특별사면·특별감형·특별복권 및 특별감면조치 등에 관한 건을 심의·의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앞서 법무부는 지난 7일 사면심사위원회를 통과한 광복절 특별사면·복권 대상자 명단을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국민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과의 무역협상에서 국방비 증액과 함께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지지를 요구하는 안을 검토한 정황이 미 정부 내부 문서를 통해 드러났다.워싱턴포스트(WP)9(현지시간) ·미 협정의 초기 초안(draft)에 미국이 한국의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2.6%에서 3.8%로 증액하고, 방위비분담금을 10억 달러(13900억원) 인상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양국이 2026년 한국의 방위비분담금을 11억 달러로 합의한 사실을 고려하면 트럼프 행정부는 분담금을 2배가량 증액하려 한 셈이다.

 

조선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알래스카 정상회담에 전격 합의하면서, 36개월째 이어지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분수령을 맞았다. 하지만 러시아의 점령 지역 영토 인정여부가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이는 이 담판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참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당사국인 우크라이나가 사실상 배제된 채 강대국들 간의 외교적 담판을 통해 새로운 국경선을 긋는 형태로 전쟁이 끝을 맺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은 이번 회담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소련·영국이 동유럽·한반도의 운명을 정한 1945년 얄타 회담의 냄새를 풍긴다고 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