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AI,'저널리즘 콘텐츠'에 크게 의존.. 시의성 정보 27% '뉴스 콘텐츠 인용

미디어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미디어와 저널리즘 콘텐츠에 크게 의존해 답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AI 검색 서비스에서 시의성 있는 정보가 필요한 질문에선 거의 절반이 저널리즘 콘텐츠를 인용하고 있다는 게 골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AI 검색 서비스들의 저널리즘 콘텐츠 인용 실태, 패턴을 살핀 해외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AI 기반 PR 플랫폼 제너러티브 펄스(Generative Pulse)’7월 발표한 연구(‘What is AI Reading?’)는 한 달 간 100만개 이상 링크를 수집, AI가 사용자 프롬프트에 응답할 때 어떤 출처를 인용하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제네러티브 펄스가 수행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인용하는 링크의 95% 이상이 비광고 콘텐츠였는데 저널리즘 콘텐츠가 전체 인용의 27%를 차지했다.


특히 최신 정보를 요구하는 질문에선 저널리즘 콘텐츠 인용 비율이 절반(49%)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I 플랫폼이 시의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때 언론 매체를 주요 소스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질문 유형에 따른 AI의 인용 패턴에서도 나타났는데 조언이나 의견을 구했을 땐 기업형 블로그 및 콘텐츠를 인용되는 반면, 최근 사건에 대한 업데이트나 사실확인 질문에선 저널리즘 소스가 압도적으로 많이 활용됐다.


시간적 측면에선 최근 12개월 이내 발행된 저널리즘 콘텐츠가 많이 인용되고 있었고 해외 유수 언론, 즉 권위 있는 매체들이 일관되게 상위 인용 출처로 나타났다는 게 보고서의 요지다.


언론재단은 “AI 검색 서비스가 로이터, AP, 파이낸셜타임스 같은 권위 있는 언론사를 일관되게 상위 인용 출처로 활용하고, 최신성이 요구되는 쿼리에서 저널리즘 인용이 절반의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객관적 검증과 시의적절한 정보 제공이라는 저널리즘의 본질적 역할이 AI시대에 오히려 더욱 중요해졌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