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10명 중 9명이 부 미디어 교육이 필요하고 10명 중 4명은 자녀 미디어 이용 지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만 20~60세 초·중·고 학부모 921명이 참여한 ‘디지털 페어런팅’(digital parenting) 실태조사에서 나왔다. 
‘디지털 페어런팅’은 자녀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역할과 개입 등 양육을 말한다.
이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88.2%는 부모 대상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자녀 연령대별로도 초등 자녀(92.2%), 중등 자녀(87.4%), 고등 자녀(85.0%)를 둔 응답자들 절대다수가 부모 대상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10명 중 4명은 디지털 페어런팅 과정에서 스트레스나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어진 항목에 ‘그렇다’고 답한 학부모의 40.5%는 스마트폰·태블릿 사용 지도가 나에게 스트레스가 된다고 답했고 34.6%는 자녀의 스마트폰·태블릿 사용 지도가 나에게 너무 벅차다, 39.3%는 자녀의 스마트폰·태블릿 사용에 어떤 부분에 어떤 방식으로 개입해야 할지 모르겠다, 36.3%는 스마트폰 사용이 자녀 발달에 도움이 될지 해가 될지 혼란스럽다고 응답했다. 
부모 지도가 학력, 소득, 거주 지역에 비례하는 특성도 확인됐다. 특히 학력별 격차가 가장 크다.
‘자녀의 스마트폰·태블릿 사용을 지도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45.6%인 반면, ‘대학원 졸업’은 70.5%로 24.9%p 차이를 보였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