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5년2월3일(월) 뉴스
2월3일자 대부분의 주요일간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기로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다루었다.
□동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 시간) 행정명령을 통해 미 동부 시간 4일 0시(한국 시간 4일 오후 2시)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중국에는 기존 관세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그간 ‘관세 무기화’를 공언해 온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처음으로 미국의 1∼3위 교역국에 관세 부과 결정을 내린 것이다. 캐나다는 즉각 “미국산 제품에 25%의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고 나섰고, 중국도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제소하겠다”고 맞서는 등 ‘글로벌 통상전쟁’이 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조선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의 세율을 추가로 10%포인트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관세 폭탄을 맞은 3국이 즉각 보복 관세 등 반발에 나서면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예고됐던 ‘관세 전쟁’이 현실화됐다. 캐나다 총리는 이날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캐나다로 수입되는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1550억캐나다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이 대상이다.
□중앙일보□
결국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시작됐다. 이번에는 엄포가 아니라 실제 선전 포고다. 첫 번 째 과녁은 캐나다·멕시코와 중국이다. 트럼프가 '머니 머신(money machine·현금 인출기)'으로 지목한 한국을 겨누는 것도 시간문제다. 반도체·자동차·가전·2차전지 등 한국 주력 산업군에 비상등이 켜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이하 현지시간)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각각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관세 부과 조치는 4일부터 시행한다. 관세 부과를 면제하는 품목은 없다. 양국이 맞대응할 경우 관세율을 더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의 ‘보복’ 조항도 포함됐다.
□경향신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이들 3개국이 즉각 보복을 선언하면서 트럼프 대통령발 글로벌 무역전쟁이 현실로 다가왔다. 동맹국도 예외 없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폭탄’이 가시화하면서 한국 경제에도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서울신문□
세계 증시에 미친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발 충격파가 상당한 가운데 2월 임시국회에서도 ‘AI 추가경정예산(추경)’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며 여야가 주도권 싸움을 펼치고 있다. 국민의힘은 “여야정협의체에서 추경을 논의하자”고 제안하는 등 야당의 협의체 복귀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추경 편성을 위해선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도 포기할 수 있다고 한발 물러서면서 반도체특별법과 연금개혁 등 시급한 민생 현안을 2월 중 처리하자고 정부·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의 헌법재판소 흔들기가 도를 넘고 있다. 재판관 개인이나 배우자, 동생의 성향을 문제 삼아 재판부의 신뢰성에 흠집을 내는가 하면, 자신들한테 불리한 헌재 결정에는 따르지 말 것을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공개적으로 요구한다. ‘자유민주주의 헌정질서의 수호자’를 자처해온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보수 집권여당이 자유민주주의의 핵심 원리인 법치와 권력분립을 앞장서 훼손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