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 사즉생의 각오로 위기 대처해야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5318() 뉴스


318일자 주요일간지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 위기론을 돌파하기 위해 경영진의 철저한 반성과 사즉생(死則生)의 각오로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고 밝혔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57·사진)이 항소심에서도 19개 혐의에 대해 전부 무죄를 선고받았다. 2016국정 농단사태부터 이 회장을 옭아맸던 사법 족쇄가 9년 만에 풀렸다는 평가가 나왔다. 법조계에선 검찰이 무리한 수사·기소와 항소를 강행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서울고법 형사13(부장판사 백강진)3일 자본시장법 및 외부감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등 19개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 대해 공소사실을 모두 무죄로 판단한 원심 판결에 대해 검사의 항소 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고, 예비적 공소사실 역시 모두 무죄로 판단한다고 판결했다.

 

조선일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에 강도 높은 위기 메시지를 던졌다. 사업부별 문제를 조목조목 짚는 통렬한 비판과 함께 독한 삼성인이 될 것을 주문했다. 지난 2020년 이건희 선대회장 별세 이후, 5년간 삼성을 실질적으로 이끌어 온 이재용 회장이 그간의 조용한 행보를 깨고 이례적으로 강도 높은 메시지를 낸 것이다. 삼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임원들을 상대로 전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이 훼손됐다과감한 혁신이나 새로운 도전은 찾아볼 수 없고, 판을 바꾸려는 노력보다는 현상 유지에 급급하다고 질책했다. “21세기를 주도하며 영원할 것 같았던 30개 대표 기업 중 24개가 새로운 혁신 기업에 의해 무대에서 밀려났다남의 일이 아니다라고 위기감을 토로했다. “인류의 미래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 혁신이 지속되는 국가 총력전의 양상이 펼쳐지는데, 우리 경제와 산업을 선도해야 할 삼성전자는 과연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가라는 반성도 있었다.

 

경향신문

 

이재용(57) 삼성전자 회장이 임원들에게 삼성다운 저력을 잃었다. 경영진부터 철저히 반성하고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과감하게 행동할 때라며 독한 삼성인으로 거듭날 것을 당부했다. 삼성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각 분야에서 초격차 경쟁력을 보여 주지 못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고관세 정책을 들고 나오자 이 회장이 정신 재무장을 강력히 주문한 것이다.

 

한국일보

이재용(57) 삼성전자 회장이 경영권 승계를 목적으로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불법 합병에 관여한 혐의에 대해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받았다. 이 회장이 기소된 지 45개월 만이다. 그간 이 회장의 발목을 잡았던 사법리스크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3일 서울고법 형사13(부장 백강진)는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게 1심과 마찬가지로 무죄를 선고했다.

 

중앙일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16(현지시간) 세계 각국과 양자 협상으로 새 무역협정을 맺겠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다음 달 2일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하겠다고 한 상호관세 시행 이후다. 상호관세로 압박한 뒤 공정한 상호이익이란 명분을 들이밀며 미국에 유리한 로 새 협정을 맺겠다는 생각이다. 미국의 8대 무역적자국 중 하나인 한국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등의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한겨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는 관세 전쟁의 직격탄을 맞은 주요 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끌어내렸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성장률도 0.6%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오이시디는 17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1년 전과 견줘 3.1% 성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기존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치다. 미국이 주도하는 보호무역주의의 물결에 따라 나라 간 무역 장벽이 공고해지고 군사적·지정학적 긴장도 커지면서 주요 나라에서 기업이 투자를 줄이고 가계가 지갑을 닫을 가능성이 크다고 오이시디는 밝혔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