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5년4월4일(금) 뉴스
4월4일자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윤석열 대통령에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탄핵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오늘 11시에 열린다는 기사를 주요뉴스로 보도했다.
□동아일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에 열린다. 12·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탄핵 정국이 넉 달 만에 마무리되는 것이다. 탄핵심판 선고 전야까지 탄핵 찬반으로 갈라진 민심의 충돌이 이어진 가운데 윤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끝내 승복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법재판관들은 윤 대통령 탄핵 여부를 두고 이날 오전 평의를 열었다. 재판관들은 4일 오전 선고 직전에도 평의를 열어 최종 결정문을 작성할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일보□
헌법재판소가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사건의 결정을 선고한다. 윤 대통령이 작년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 소추된 지 111일 만이다. 헌재(憲裁)에서 탄핵을 기각 또는 각하하면 윤 대통령은 즉시 직무에 복귀한다. 반면 탄핵을 인용하면 윤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잃는다. 그러나 헌재 결정 선고를 하루 앞둔 3일에도 윤 대통령이나, 윤 대통령 탄핵 소추를 주도한 더불어민주당에서 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약속은 나오지 않았다. ‘헌재 결정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국민이 10명 중 4명이 넘는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헌재에서 어떤 결정을 내리든 한국 사회가 탄핵 찬반으로 나뉘어 분열과 갈등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향신문□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멈춰 있었던 고통스러운 시간. 그 시간이 다시 흐를지 ‘4월4일 오전 11시’ 결정된다. 무장한 계엄군을 맨몸으로 막은 시민, 추운 겨울밤 남태령을 함께 넘은 농민과 여성, 소수자, 평범한 직장인, 그리고 어린 학생들까지 전국의 모든 눈이 헌법재판소로 향해 있을 것이다.
□국민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25%라고 밝혔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표기돼 혼선이 빚어졌다. 중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들도 예상보다 높은 20~30%대의 관세를 부과받아 글로벌 무역전쟁이 격화될 전망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온 자유무역이 근본부터 흔들리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울신문□
헌법의 존엄이, 민주주의의 미래가 시험대에 섰다.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결정을 선고한다. 12·3 비상계엄 선포 123일 만이다. 대한민국은 다시 한번 국민 손으로 뽑은 대통령을 심판해야 하는 역사적 비극과 마주했다. 그러나 이를 분열이 아닌 통합의 시작으로 바꿀지는 우리 모두의 손에 달렸다. 어떤 결과든 겸허히 받아들이고 광장이 아닌 일상으로 돌아갈 때 벼랑 끝에 섰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다시 한번 도약할 것이다.
□한겨레□
12·3 내란사태가 벌어진 지 123일이 되는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 여부를 결정한다. 겨울과 봄을 아우른 긴 시간, 시민들은 서울 여의도와 광화문, 한남동, 남태령과 전국 곳곳을 광장 삼아 “내란의 겨울을 끝내달라”고 외쳤다. 그사이 어떤 이는 무대에 올라 지친 시민을 독려했고, 또 어떤 이는 그런 무대를 기록했다. 시민항쟁버스를 만들어 추위 대피소를 만들고, 엑스(X·옛 트위터)에 소식을 퍼 나르며 농민과의 연대를 요청하기도 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