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 81개 국가 행정시스템이 재가동됐다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5930() 뉴스

 

930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본원 화재 나흘 만인 정부24,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 81개 국가 행정시스템이 재가동됐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중앙일보

 

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전소한 96개 행정정보시스템을 복구하는 데 최소 4주가량 걸릴 것으로 진단했다. 이 중에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1등급 정보 시스템인 통합보훈,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와 2등급 시스템으로 공무원 행정업무망인 온나라 시스템 등 핵심 전산망이 포함돼 있어 당분간 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96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 구축을 위한 정보자원 준비에 2,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경향신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본원 화재 나흘 만인 29일 정부24,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 81개 국가 행정시스템이 재가동됐다. 전소된 96개 정부 업무시스템은 대구 분원으로 이전해 재가동하기까지 4주가량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오후 10시 기준 화재로 중단된 647개 국가 행정·업무시스템 중 81개가 복구돼 재가동됐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리튬이온 배터리와 관련, 1년 전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계속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설마에 기초한 근거 없는 안전불감증이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왔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실에 방화격벽을 설치해야 한다는 외부 용역보고서와 2023년 정부 전산망 먹통 사태의 교훈도 외면하거나 망각했다. 이번 사태가 단순한 화재가 아니라 무사안일주의가 빚은 예고된 인재(人災)’라는 비판이 거센 까닭이다.

 

동아일보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에서 리튬이온 배터리를 옮기던 중 발생한 화재 당시 배터리 전원 차단이 최초 신고 후 3시간 가까이 지나서야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화재 당시 전원이 꺼져 있었다고 설명한 것과 배치되는 정황이다.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배터리 전원은 최초 신고 2시간 42분 뒤인 오후 112분에야 차단됐다. 화재 신고는 26일 오후 820분 접수됐고, 소방 선발대는 6분 뒤 현장에 도착했다. 당시 소방은 연소 확대 위험이 크지 않다고 판단해 인명 검색을 우선 진행했다.

 

조선일보

 

국방부는 국민 재산권 보호와 지역 활성화차원에서 서울·인천·경기도 일대 9곳의 군사시설 보호구역 약 400를 해제·완화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조치에는 인천·강화 등 접경 지역의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도 포함된다. 이날 국방부는 서울 강남·강동·광진·송파·중랑구와 경기 성남·용인시 등 7(327.7)의 공군 서울 기지(K-16) 관련 비행 안전 구역 등급을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206가 경기 성남시의 비행 안전 구역 해제 및 완화다. 이 조치로 수혜 지역은 고도 제한이 20~60m 정도 완화돼 재개발 시 수익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성남시 주민들은 그동안 비행 안전 구역 완화 민원을 제기해 왔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