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국민연금을 활용한 환율 안정화 방안... ‘4자 협의체’를 가동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51125() 뉴스

 

1125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정부가 원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을 방어하기 위해 국민연금을 활용한 ‘4자 협의체를 가동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중앙일보

 

정부가 원화 가치 하락(환율 상승)을 방어하기 위해 국민연금을 소방수로 투입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검토한다.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을 동원하는 데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다. 기획재정부는 24기재부와 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은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 과정에서의 외환시장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한 4자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재부는 앞으로 4자 협의체에서는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의 안정을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민연금 등과 긴밀히 논의해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한 뒤 열흘 만에 나온 후속 조치다.

 

경향신문

 

정부가 원·달러 환율이 1470원을 넘는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국민연금을 활용한 환율 안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자 협의체를 가동했다. 국민연금이 환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오르면 달러 자산을 파는 전략적 환헤지(외환 위험 방어)’ 규정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그러나 환율 방어를 위해 국민연금이 무리하게 개입하면 투자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서울신문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4자 협의체를 가동했다. 원달러 환율이 1470원대까지 치솟자 정부가 자본시장의 큰손국민연금을 소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본격 모색한다는 의미다. 국민연금을 환율 안정 수단으로 동원하는 것과 관련, 국민 노후 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은 데다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기획재정부·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은 244자 협의체 첫 회의를 열었다.

 

한겨레

 

고환율 현상이 길어지면서 외환당국과 국민연금공단이 환율 안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협의체는 향후 수시 협의를 이어가며 외환시장 상황에 대응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24일 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과 함께 ‘4자 협의체를 구성해 첫 회의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앞으로 4자 협의체에서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의 안정을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이창용 한은 총재 등과 시장점검회의를 열고 국민연금 등 주요 수급 주체와 논의하겠다고 밝힌 지 열흘 만의 후속 조처다.

 

국민일보

 

24일 한 포털사이트에 학생·학부모 데이터베이스(DB) 판매를 검색하자 최신 DB 입고 완료’ ‘시중에 돌지 않는 정보라고 적힌 광고가 수십 건 떴다. 텔레그램으로 연락이 닿은 한 판매자는 강남 거주자로만 이름·전화번호·주소·생년월일이 담긴 개인정보 수천 건을 갖고 있다사고날 염려 없는 확실한 정보라고 말했다. 아예 대놓고 최근에 해킹한 자료를 판매하고 있다고 소개하는 업자도 있었다.

 

동아일보

 

이재명 대통령은 23북한이 가장 예민해하는 것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라며 남북 간 평화 체제가 확고하게 구축이 되면 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북한과의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협상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중동·아프리카 4개국을 순방 중인 이 대통령은 이날 마지막 순방지인 튀르키예로 향하는 공군 1호기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해 선제적으로 훈련 규모를 축소하거나 연기하거나 이런 것들을 검토하자는 주장도 일부에서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선일보

 

내년 3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하나의 원청 업체와 일하는 하청 노조 수천 곳이 단일 창구 없이 각각 분리된 교섭을 사(使) 측과 진행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줬다. 지난 8월 국회를 통과한 노란봉투법은 사용자 범위를 지나치게 넓힌 탓에 하청 업체 수백, 수천 곳과 일하는 대기업이 1년 내내 하청 업체들의 교섭 요구에 시달릴 것이란 비판을 불러왔다. 이에 정부 안팎에선 교섭 창구 단일화 제도로 보완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는데, 오히려 이 제도를 뭉개는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