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에 각각 450조원, 125조원 투자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51117(뉴스


1117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삼성그룹과 현대차 그룹이 5년동안 국내에 각각 450조원, 12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삼성이 앞으로 5년 동안 국내에 450조 원을 투자한다. 현대차그룹 역시 같은 기간 125조2000억 원을 쏟아붓는다. 한미 관세 협상에 따라 매년 최대 200억 달러(약 29조 원)의 대미(對美) 투자가 예고되면서, 한국 내 투자가 위축되고 일자리가 증발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자 기업들이 나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요 대기업 총수들과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간 합동회의’를 열고 기업들의 국내 투자 확대 계획을 논의했다. .

 

조선일보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에 각각 450조원, 12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두 기업 역사상 각각 역대 최대 규모 국내 투자다. 이번 투자 발표는 16일 이재명 대통령과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이 한미 관세 협상 후속 조치 회의를 가진 직후 전격적으로 발표됐다. 한미 관세 협상 이후 대규모 대미 투자에 따른 국내 투자 공백 우려를 해소하려는 정부의 요청에 각 기업이 화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앙일보

 

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 공장인 평택사업장 5공장(P5)을 짓는 등 향후 5년간 450조원을 국내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인공지능(AI)·로보틱스 등 5년간 125조원을 국내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대미 투자 규모가 확대되면서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空洞化)를 우려하는 목소리에,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 약속으로 화답한 것이다.


경향신문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메모리반도체 수요 확대를 대비해 2028년 가동을 목표로 평택사업장 2단지 내 ‘5라인(공장)’ 조성을 추진한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비수도권 지역 투자도 늘린다. 삼성SDS는 전남에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경북 구미에 AI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달 초 인수를 완료한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그룹의 생산라인을 광주에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거점 후보지로 울산 사업장을 고려 중이다.


한겨레

 

정부가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의 항소 포기 결정에 반발해 집단행동에 나선 검사장 전원을 평검사로 인사 전보 조처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16일 확인됐다.여권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에 “정부가 집단행동에 나선 검사장을 형사처벌, 감찰 및 징계, 전보 조치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한·미 조인트 팩트시트 발표 후 처음 재계 총수들을 만나 “(협상 타결은) 전적으로 기업인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라고 사의를 표했다. 동시에 “국내 투자에 더 마음을 써 달라”고 주문했다. 주요 그룹들은 이 자리에서 총 833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일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有事·전쟁 등 긴급사태)시 무력 개입’ 발언을 강도 높게 비판해오던 중국이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 자제까지 권고하고 나섰다. 중국이 다카이치 총리 발언을 ‘레드라인 침범’이라고 여기고 있는 만큼 양국 관계가 더욱 경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14일 소셜미디어(SNS) 위챗을 통해 “최근 일본 정치인들이 대만과 관련해 노골적인 도발 발언을 해 중·일 간 인적 교류 분위기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일본 내 중국인의 신변 안전과 생명에 중대한 위험이 초래됐다”며 “가까운 시일 내 일본 여행을 자제하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공지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