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MBC·SBS 등 지상파 방송 3사와 JTBC 등을 소유한 중앙그룹이 올림픽과 월드컵의 중계권 재판매를 놓고 가처분과 공정위 제소를 주고받으며 충돌하고 있다.
중앙그룹은 스포츠 중계권 관련 담합 혐의로 지상파 3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고, 지상파 3사는 중앙그룹의 중계권 사업자 선정 입찰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독점 구매한 중계권을 비싸게 팔려는 중앙그룹과 중계권료 부담을 줄이려는 지상파 3사가 대립하는 형국이다.
중앙그룹은 2026〜2032년 동·하계 올림픽과 2025〜2030년 FIFA 월드컵의 한국 독점 중계권을 획득했다.
중계권 단독 구매에 거액을 들인 중앙그룹은 중계권 재판매를 추진하고 있다. 뉴미디어 중계권 부문은 네이버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지만, 공동 중계 방송권자 선정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1차 입찰에 이어 8일 끝난 올림픽·월드컵 TV 방송권자 선정 재입찰에 지상파 3사는 참여하지 않았다. 지상파 3사는 중앙그룹이 무리하게 올림픽·월드컵 중계권 가격을 올려놓고, 그 비용을 지상파 3사에 떠넘기려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올림픽·월드컵 중계권을 개별 구매할 수 없게 패키지로만 판매하고, 선호도가 높은 2030~2032년 대회를 구매하기 위해 2026~2028년 대회를 강제 구매하도록 하는 입찰 조건을 달아 가장 비싸게 판매하려 한다는 것이다.
지상파 3사는 중앙그룹의 중계권 구매 금액을 2026〜2032년 올림픽의 경우 2억3000만달러(약 3100억원), 2025〜2030년 FIFA 월드컵은 2억7000만달러(약 3700억원)로 추정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