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3명 중 2명은 뉴스가 신뢰할 수 없거나 편향적이어서 이를 보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2 한국> 보고서는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이용행태 조사결과’를 이같이 전했다.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는 지난 1월 11일부터 21일까지 46개국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 9만3432명 가운데 한국에서는는 2026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한국 이용자의 67%는 뉴스를 회피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7년 52%보다 15%p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젊은 층이 적극적으로 뉴스를 회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주 회피한다는 응답률은 20대가 9%로 가장 높았으며 30대가 6%로 뒤를 이었다.
40대 5%, 50대 4%, 60대 5% 순이다.
뉴스를 회피하는 이유로는 ▲뉴스를 신뢰할 수 없거나 편향적이다(42%) ▲정치/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주제를 너무 많이 다룬다(39%)
▲뉴스가 내 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8%)
▲많은 양의 뉴스가 쏟아져 지쳤다(26%) 등이 꼽혔다.
올해 한국의 뉴스 신뢰도는 30%로 46개 조사국 중 40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조사와 비교해 2%p 하락한 수치로, 조사국 평균인 42%를 밑돌았다.
뉴스 신뢰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핀란드(69%), 가장 낮은 국가는 미국(26%)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