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주요 경제지의 경영 성과가 한 해 전과 비교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평균 5% 증가했지만 용지대와 급여, 복리후생비 등 판매비와 관리비가 증가하며 영업이익이 2021년보다 줄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0개 경제지의 지난해 매출액은 모두 증가했다.
자회사인 IT조선의 매출이 10억원 가량 늘어나며 조선비즈가 전년도보다 11% 매출액이 올랐고, 이데일리와 한국경제신문도 각각 8%의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한국경제는 지난해 경제지 중 가장 많은 2485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한 해 전보다 179억원 늘어난 수치고, 영업이익 역시 27억원 증가한 265억원이었다.
다만 대다수 경제지들은 2021년보다 영업이익 규모가 줄어들었다.
대부분 흑자를 기록하긴 했지만 한 해 전과 비교하면 평균 38%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매출원가와 판매비 및 관리비 등이 증가한 영향 때문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침체됐던 임금이 지난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인상되면서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가 증가한 경제지들이 많았다.
또한 연달아 오른 신문용지와 잉크값, 운송비도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업계에선 2021년 9월 대한제지, 전주페이퍼, 페이퍼코리아 등 제지 3개사가 신문 용지값을 톤당 10% 인상한 데 이어 지난해 5월 또 다시 약 10%(7만~7만5000원) 인상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