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수신료 분리징수, KBS 뿐 아니라 교육방송 EBS도 타격 클 듯

미디어뉴스

대통령실이 추진하는 수신료 분리징수 여론 수렴 결과가 현실화될 경우 KBS 뿐 아니라 교육방송인 EBS도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KBS가 해명자료를 내고 긴급 기자간담회를 여는 등 방어 여론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수신료 분리징수가 현실화될 경우 방송법에 명시된 수신료 납부의무가 무력화되고 이는 곧 공영방송 제도의 붕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때 무너지는 것은 KBS만이 아니다. 수신료를 받는 또 다른 주체인 EBS도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타격이 클 거란 점에서 위기감이 상당하다.


다만 EBS가 받는 수신료는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2500원의 수신료에서 EBS는 약 2.8%70원을 받는다.


지난해 EBS의 수신료 수입은 194억원으로 한전이 가져간 위탁 수수료 465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EBS 전체 재원에서 수신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EBS는 수신료가 공영방송 EBS를 떠받치는 주요 재원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

.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