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기자들이 취재·보도 과정서 겪는 트라우마 대응방안 제시돼

미디어뉴스

기자들이 취재현장과 보도과정 또는 조직에서 겪는 트라우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공개됐다.


한국기자협회, 한국여성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가 조직한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회와 구글 뉴스 이니셔티브·다트센터는 공동으로 언론인 트라우마 가이드북1.0’ 발표회를 가졌다.


언론인 트라우마 위원회는 현직 언론인 544명을 대상으로 트라우마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근무 중에 트라우마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80%에 달했다.


가이드라인은 취재·보도 과정을 사안 인식 인터뷰 취재 및 촬영 기사 작성 및 편집 보도 보도 이후 등 6단계로 분류해 단계마다 자세한 방안을 제시한다.


취재진의 사안 인식에선 현장기자와 데스크 입장에서 각각 고려해야 할 점을 짚었다.


구체적으로 취재진도 트라우마를 경험할 수 있다는 인식 기자 스스로 해당 사건 취재에 적합한지 점검 현장 기자에게 충분한 자율성 부여해 돌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 등을 담았다.


인터뷰 단계는 트라우마 관점에서 언론인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유족·생존자 취재를 다뤘다.


트라우마를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인터뷰 방법이 가이드라인에 담겨있다.


보도단계에선 취재원의 상황이나 감정을 취재진의 판단으로 단정해 보도해선 안 된다는 내용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유가족들이 슬픔에 빠져 있다는 관행적인 표현이다.


마지막 단계인 보도 이후엔 신뢰하는 동료들과 고충을 나누고, 관계적·사회적 지지를 받는 경험이 트라우마를 막을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