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라디오, 동영상 시대에도 여전히 친숙한 매체

미디어뉴스

라디오는 유튜브와 OTT 등 동영상 플랫폼들의 홍수 속에서도 여전히 청취자들의 일상생활과 함께하는 친숙한 매체로 나타났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가 라디오 청취자 2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전체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4%가 라디오를 듣는 이유로 이동 중/다른 일을 하면서도 들을 수 있어서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음악을 듣기 위해/선곡이 좋아서(32.9%)’, ‘재미있어서/재미있는 이야기&사연을 듣기 위해(26.6%)’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라디오 광고에서 들어본 브랜드(제품/서비스)는 친근하게 느껴진다는 질문에 79.3%가 그렇다고 응답해 라디오 광고가 소비자의 브랜드를 향한 친밀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좋아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들을 때광고가 나와도 주파수를 바꾸거나 스킵하지 않는 편이다에도 78.5%가 그렇다고 응답해라디오 광고에 대한 청취자의 수용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20~59세 라디오 청취자(평소 라디오 콘텐츠를 한 달 기준 1일 이상 청취) 2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12일부터 4월 17일까지 온라인 방식으로 조사했으며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