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2년10월13일(목) 뉴스
10월13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다시 0.5%p 올렸다는 내용을 비중있게 다루었다.
□동아일보□
한국은행이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역대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이번 빅스텝으로 가계와 기업의 연간 이자 부담은 12조 원 넘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0%로 0.50%포인트 전격 인상했다. 올해 7월 사상 첫 빅스텝을 결정한 한은은 8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며 속도 조절에 나서는 듯했지만 다시 보폭을 넓혔다.
□중앙일보□
추락하는 원화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12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빅스텝) 인상하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불을 붙인 ‘역(逆) 환율전쟁’에 한은도 뛰어들었다. 이로써 예금금리 연 5%, 대출금리 연 8% 돌파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경기 둔화가 본격화되는 ‘고통스러운 긴축’도 시작됐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가 연 3.5%까지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물가와의 전쟁’에 단일대오를 구축해 온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내에서도 다른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급증한 가계빚 등으로 인한 경제 체력 저하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경향신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두 번째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10년 만에 ‘3%대 기준금리’ 시대가 도래했다. 통화당국은 물가가 여전히 높고, 최근 급격히 오른 원·달러 환율 방어를 위해 통화정책의 대응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대외 악재가 계속 쌓이는 상황에서 강한 긴축 기조가 지속되면서 하반기 한국 경제 성장세는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
한국은행이 또 다시 ‘빅스텝’(0.50%포인트 금리 인상)을 밟으며 10년 만에 기준금리 3% 시대가 열렸다. 1400원대로 치솟은 원-달러 환율을 잡기 위해 숨가쁘게 금리를 올리는 형국이다.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연 3.00%로 0.50%포인트 인상했다. 한은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한 지난 7월 이후 석달 만에 다시 빅스텝을 밟았다. 이로써 한국 기준금리는 2011년 3월∼2012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3%대로 올라섰다. 4·5·7·8월에 이어 이날까지 5회 연속 기준금리를 올린 건 한국은행 역사상 처음이다.
□조선일보□
정부가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한국이 미국의 전술핵을 공유하는 수준으로 미의 확장억제(핵우산)를 강화하자고 미 행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과거처럼 미 전술핵 미사일을 한국에 재배치하거나 한국이 자체 핵무장을 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지만, 미국의 전술핵 전력을 상시 공유하는 ‘실질적 핵 공유’를 제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상 두 번째 빅스텝 인상이자 사상 첫 5회 연속(4, 5, 7, 8, 10월) 인상 결정이다.
□서울신문□
우리나라가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연임에 실패했다. 인권이사회가 설립된 2006년 이후 첫 낙선이다. 북한 인권 등이 논의되는 유엔의 주요 이사회에서 한국이 밀려난 것은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에서 치러진 유엔 인권이사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4개 이사국 선출 선거에서 한국은 123표로 5위에 그쳐 낙선했다. 현 이사국 가운데 한국과 베네수엘라만 연임에 실패했다.
□국민일보□
김황식 전 국무총리는 12일 국민일보가 주최한 ‘2022 국민미래포럼’에 참석해 “사회통합이 이뤄지지 않으면 국가 발전은 불가능하다”며 “정치가 사회통합을 위한 적극적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김 전 총리는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컨벤션홀에서 ‘대한민국, 길을 묻다: 도전과 전환’이라는 주제로 열린 국민미래포럼에서 특별강연을 통해 코로나19의 끝에서 심각한 경제위기를 마주한 대한민국의 위기 극복 해법으로 ‘사회통합’을 제시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