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로 넘어가기
사단법인 한국언론인협회

[오늘의 언론보도] 금리 급등으로 강원도의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로 자금시장 경색이 심화되자, 정부가 50조원 이상의 자금을 풀겠다

오늘의 언론보도

[오늘의 언론보도] 20221024() 뉴스

 

1024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최근 금리 급등으로 강원도의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로 자금시장 경색이 심화되자, 정부가 50조원 이상의 자금을 풀겠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정부와 한국은행은 23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시장안정 대책을 내놨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 회사채 및 단기금융시장 불안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우선 정부는 24일부터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여유 재원 16000억 원을 투입해 회사채, 기업어음(CP) 등을 직접 매입한다. 아울러 채안펀드를 20조 원 규모로 조성하기 위해 다음 달 초까지 금융권에 대한 추가 자금 요청을 끝낼 방침이다. KDB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이 매입하는 비우량 회사채 및 CP 한도를 현행 8조 원에서 16조 원으로 높이고 매입 대상에 증권사가 발행한 CP도 포함하기로 했다.

 

조선일보

 

정부와 한국은행은 23일 급격한 금리 상승과 강원도 레고랜드의 어음 채무 불이행 사태로 촉발된 채권 시장 경색을 풀기 위해 50조원 이상의 자금을 풀겠다고 발표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이날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50조원+α규모의 긴급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우선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중 여유 자금 16000억원으로 24일부터 회사채·CP(기업어음)를 사들이기로 했다.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의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도 8조원에서 16조원 수준으로 확대된다. 한국증권금융을 통해 부실 징후가 있는 증권사에 3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했다.

 

중앙일보

 

정부와 한국은행은 2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50조원+α규모의 시장안정 조치를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이창용 한은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추 부총리는 정부와 한은은 대내외 복합 요인으로 인해 현재의 시장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면서 필요시에는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시장 불안에 적기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69)23일 공산당 총서기직 3연임을 확정했다. 전임 지도자들의 10년 집권 관례를 깨고 최소 15년 이상의 장기집권 시대를 연 것이다. 시 주석은 집권 3기 지도부를 측근 으로 채우고 당장(黨章·당헌) 개정을 통해 당 핵심 지위도 더욱 공고히 했다. 명목상의 집단지도체제는 껍데기만 남고 명실상부한 ‘1인 권력시대의 시작을 알린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는 이날 1차 전체회의(1중 전회)를 열고 시 주석을 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재선출했다. 또 중앙정치국 위원 24명을 선출하고 이 가운데 시 주석을 포함한 7명을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임했다.

 

서울신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 22일 구속되면서 검찰의 불법 대선자금 수사가 탄력을 받게 됐다. 서해 공무원 피격사건과 관련해 서욱 전 국방부 장관 등도 구속되면서 검찰은 향후 문재인 전 대통령의 연루 여부도 따져 볼 것으로 전망된다. 전 정부를 향한 검찰의 전방위 수사에 맞서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특검 수용을 요구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장 강백신)23일 김 부원장을 구속한 뒤 처음으로 소환조사를 진행했다. 검찰은 김 부원장이 20214~8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에게 20억원을 요구한 배경과 일부를 반환한 뒤 실제로 챙긴 6억여원의 용처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

 

지난 5년여 동안 제기돼 왔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이 23일 확정됐다. 이날 베일을 벗은 5년 동안 중국을 이끌 중국공산당 차기 최고지도부 6명도 전원 그의 측근으로 채워졌다. 당 총서기 시진핑 주석의 뒤를 이어 리창 상하이시 당 서기, 자오러지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왕후닝 당 중앙서기처 서기, 차이치 베이징시 당 서기, 딩쉐샹 당 중앙판공청 주임, 리시 광둥성 당 서기가 붉은 무대를 걸어 들어왔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중국을 이끌 공산당 새 최고지도부가 처음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이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

 

 

협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