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론보도] 2022년11월2일(수) 뉴스
11월2일자 주요일간지 대부분은 이태원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압사 사고를 우려한 112 신고가 11건 접수됐지만 경찰은 4번만 출동했다는 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동아일보□
사망자 156명이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발생 약 4시간 전부터 사고 장소 및 인근에서 “압사당할 것 같다”며 인파 통제를 요청하는 시민들의 112 신고가 이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오후 10시 15분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접수된 관련 신고는 11건에 달했는데, 신고를 받고도 합당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찰에 대한 책임론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1일 경찰청이 공개한 ‘이태원 사고 이전 112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사고 당일인 지난달 29일 접수된 112 신고 중 해밀톤호텔 서편 골목 인근에서 압사 위험을 직접적으로 알리는 신고 전화는 11건이었다.
□조선일보□
경찰이 공개한 사고 당일 112 신고 접수 녹취록에는 압사 사고 위험성을 알리며 경찰의 신속한 조치를 요청하는 내용이 담겼다. 첫 신고 시각은 오후 6시 34분으로, 사고가 발생한 오후 10시 15분보다 4시간 가까이 이른 시점이었다. 신고자 A씨는 “골목에 사람이 내려올 수 없는데 계속 밀려 올라오니까 압사당할 거 같다”며 “경찰이 통제를 좀 해줘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인파 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신고는 오후 8시쯤부터 다시 10건이 이어졌다. 오후 8시 9분 두 번째 신고자 B씨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정체돼 밀치고 넘어지고 난리가 났고, 다치고 있다”며 “이것 좀 단속해줘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오후 8시 53분 네 번째 신고자 C씨는 “사람들이 많아서 거의 압사당하고 있다”며 “아수라장이다. 아수라장”이라고 했다. 비슷한 신고는 사고 직전인 오후 10시 11분까지 계속됐다.
□중앙일보□
윤희근 경찰청장은 1일 ‘이태원 사고 관련 경찰청장 브리핑’에서 사고 발생 직전 다수의 112 신고가 있었다는 점을 밝히면서 “112 신고를 처리하는 현장의 대응이 미흡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부실 대응과 관련해 “112 신고처리를 포함해 전반적인 현장 대응의 적정성과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도 빠짐없이 조사할 것”이라며 “제 살을 도려내는 ‘읍참마속’의 각오로 진상 규명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다급한 신고 전화가 이어졌지만 경찰의 대응은 안일했다.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전 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총 11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6건에는 ‘압사’라는 말이 직접 언급됐고, 나머지 신고에서도 “죽을 것 같다” 등 급박한 상황이 생생했다. 그러나 경찰은 11건 중 4건의 신고에만 현장 출동을 했고, 나머지 7건은 전화로 안내만 한 뒤 종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
‘이태원 핼러윈 참사’ 당일 사고 발생 약 4시간 전부터 “압사당할 것 같다”는 112신고가 쇄도했지만 경찰이 부실 대응한 것으로 확인됐다. 오후 9시7분 이후 접수된 5차례 신고 전화는 긴급출동이 필요한 ‘코드1’로 분류하고도 출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시민들이 경찰에 위험 상황을 충분히 알렸음에도 추가 인력 배치 등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이다. 경찰은 그간 “대규모 인명 피해를 예상치 못했다”고 했지만 현장 대처가 미흡해 벌어진 인재라는 점이 드러났다. 경찰청은 지난달 29일 오후 6시34분부터 오후 10시11분까지 서울 이태원동 일대에서 참사 현장의 위험성을 알리는 112신고가 총 11건 접수됐다고 1일 밝혔다. ‘112신고 녹취록’을 보면 당일 오후 6시34분 “사람이 내려올 수 없는데 계속 밀려 올라오니까 압사당할 것 같다”며 “경찰이 좀 통제해달라”는 신고가 접수됐다.
□서울신문□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경찰청이 당시 현장에서 근무한 경찰관들을 감찰하기로 결정하자 일선 경찰들 사이에선 ‘지휘부 잘못을 현장에 전가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서울 강서경찰서 소속 심기수 수사과 팀장은 2일 윤희근 경찰청장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현장 책임론’을 언급한 것을 두고 “정말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심 팀장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린 글에서 “‘현장 대응이 미흡했다’라는 답변은, 지휘부가 성실히 책임을 다하고, 현장에 충분한 경찰력과 장비를 지원했을 때 가능하다”며 “승진을 하여 더 높은 계급을 달아준 이유는 그 책임의 무게를 지라는 거다. 경찰청장이 현장 책임론만 언급한 건 정말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