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더욱 현란한 뉴스를 송출할 유튜브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견제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유튜브 등 거대 플랫폼에 대한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
언론중재위원회 <유튜브 저널리즘과 인격권 침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유튜브가 조회 수와 구독자를 늘려서 수익을 추구하므로 자극적이고도 정파적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권형둔 공주대 법학과 교수는 유튜브가 인터넷에서 허위정보나 명예 훼손적 콘텐츠를 확산하는데 가장 강력한 매체 중 하나가 되었고, 이에 따라 유튜브 규제 강화에 대한 당위성이 힘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권 교수는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나면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법률개정은 물론 유튜브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언론인협회(akjor@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