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
-
KBS 직능단체 대부분 사장퇴진 찬성 기자협회만 유일하게 반대가 많아
PD협회를 비롯한 KBS 직능단체 구성원들이 김의철 사장의 퇴진을 바라고 있으나 기자협회만 반대하는 구성원이 절반을 넘었다. KBS 기자협회 회원의 47.4%가 TV수신료 분리징수 사태와 관련해 김의철 사장이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퇴해선 안 된다는 응답은 52.6%로 절반을 넘였다. KBS기자협회는 투표 결과를 재신임으로 해석하지 말라며 김 사장에게 직을 던지는 각오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KBS PD협회 회원&nbs
-
KBS,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관련 헌재에 헌법소원과 효력정지가처분 신청
KBS는 방송통신위원회가 TV수신료 분리징수 방송법 시행령 개정 입법예고 기간을 10일로 단축한 것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KBS는 이에 앞서 시행령 개정 절차 진행정지 가처분과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한 바 있다. KBS는 헌법재판소에 입법예고 기간을 현행법상 통상 ‘40일 이상’이 아닌 10일로 단축 시행한 데 대해 헌법소원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행정절차법 43조는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입법예고기간은 40일 이상으로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
세계 공영방송사장단(GTF) KBS TV수신료 분리징수 우려
영국 BBC, 독일 ZDF, 호주 ABC 등이 참여한 세계 공영방송사 협의체 GTF가 한국의 TV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에 대해 공영방송 근간이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세계 8대 공영방송사 사장들의 협의체인 GTF는 성명에서 방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 KBS는 재정적으로 심각한 손해를 입게 되고, 공적책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어 한국인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위험에 빠질 것이라며 한국 공영방송 근간이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법원, 한상혁 면직처분 정지 기각 공무집행 공정성 저하될수 있어
한상혁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신의 면직처분을 정지해달라며 낸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기각됐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는 한 위원장이 방통위원장 직무를 계속 수행하면 방통위 심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사회적 신뢰와 공무집행의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며 한 전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을 상대로 낸 면직처분 효력정지 신청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검찰이 한 전 위원장을 기소하면서 적시한 혐의사실과 윤 대통령이 면직처분을 내리면서 제시한 근거 대부분이 면직 사유로서 인정
-
KBS PD 65%, 김의철 사장 퇴진요구 수신료 분리징수 입법화에 책임져야
윤석열 정부가 수신료-전기세 분리 징수를 골자로 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 가운데 KBS PD들의 상당수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김의철 사장과 경영진이 사퇴해야 한다고 밝혔다. KBS PD협회가 지난 6월21일부터 23일까지 협회원 731명을 대상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수신료 분리징수 입법화 사태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장과 최고위 간부들이 사퇴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은 결과 ‘사퇴해야 한다’는 응답은 65.18%(335명),
-
MZ세대, OTT·SNS 이용률 높아 스마트폰 이용 하루 3시간 넘어
1982~1995년 출생자인 M세대와 1996~2011년 출생자인 Z세대 등 MZ세대가 스마트 기기와 OTT, SNS 이용을 선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발표한 <MZ세대의 미디어이용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태플릿PC, 웨어러블기기 등 스마트 기기 보유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M세대와 Z세대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각각 100%, 98.4%이며 특히 Z세대의 경우
-
포털뉴스제평위, 운영 잠정중단은 사실상 해체 수순으로 보여
국내 양대 포털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 제휴·심사·관리를 담당하는 포털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가 운영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으나 결국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는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양대 포털은 제평위 운영중단 기간 외부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중립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제휴 평가 시스템을 면밀히 검토해 발전된 미디어 환경을 구축할 협력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제평위의 운영중단은 2016년 공식 출범 이후 7년 만이다. 양대 포털이 직접 해오
-
KBS, 헌재에 수신료 분리징수 정지 가처분신청 등 법적 대응
KBS가 정부의 TV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에 반발해 방송법 시행령 개정 절차를 정지해달라며 헌법재판소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방통위가 통상 40일 이상인 시행령 입법예고 기간을 10일로 단축한 것에 대해서도 헌법소원을 청구할 예정이다. 김덕재 KBS 부사장은 기자회견에서 수신료 분리징수를 강제하는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의 내용과 급박하게 추진되는 개정 절차가 합당한지 묻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수신료 분리징수는 공영방송의 근본적인 재원 토대를 뒤흔들 수 있다
-
KBS, 정부의 수신료 분리징수에 헌법소원·가처분신청 등 예고
KBS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수신료 분리징수를 위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자 헌법소원과 가처분신청 등을 예고했다. KBS는 우선 방송법 시행령 개정 절차를 정지해달라는 취지의 가처분을 오늘(21일) 중 헌법재판소에 신청한다. 방통위가 시행령 입법예고 기간을 10일로 단축한 것에 대한 헌법소원도 청구할 예정이다. KBS는 “입법예고기간 단축에 관한 헌법소원(청구 예정) 선고까지 방송법 시행령 개정 절차를 정지해 달라는 취지”라고 이유를 밝혔다.한국언
-
SBS, 예능본부 분사 구성원 68.7%가 찬성
SBS가 드라마본부에 이어 예능본부를 분사하기로 했다. 예능 스튜디오가 출범하게 되면, SBS에 현 조직도상 남아있는 본부(실, 센터 포함)는 보도본부, 시사교양본부, 라디오센터, 경영본부, 콘텐츠전략본부, 대외협력실 등이다. 지난 2020년 SBS는 드라마본부를 분사해 스튜디오S를 출범시켰다. 지난 6월 7~9일 실시된 SBS 예능본부 구성원 대상 ‘예능 스튜디오 출범’ 동의 투표에서 재적 인원 68.7%의 찬성률로 통과돼 분사 추진이 결정됐다. 재적
-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 반대 기자 80% 반대해
한국기자협회가 현직 기자들을 대상으로 이동관 대통령실 특보가 방통위원장으로서 적절한지를 묻는 온라인 여론조사에서 80%가 임명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냈다. 기자협회는 지난 6월 16일부터 19일 오전까지 전체회원 1만1122명 중 문자 발송에 성공한 1만1069명을 대상으로 이 특보의 방통위원장 임명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다. 조사에 참여한 기자 1473명 중에서 80.0%가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에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적극 반대한다는 의견은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KBS 민주당 민주노총 프로파간다 매체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KBS를 공영방송이 아닌 민주당과 민주노총의 프로파간다 매체라고 비난했다. 김대표는 국회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KBS가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 가짜뉴스 조작과 선전 선동, 수신료 분리징수와 관련해 한쪽 주장만 일방적으로 퍼 나르는 방송을 하면서 국민에게 돈 달라고 손을 내밀 자격조차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공영방송과 방송 통신 감독기관의 사유화도 결코 방치할 수 없다며 반드시 정상화시키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방송통신위원
-
방문진 국민감사 집행정지 신청 법원이 기각시켜
MBC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이 감사원을 상대로 제기한 국민감사 집행정지 신청을 법원이 받아드리지 않았다. 서울행정법원은 감사원감사 결정으로 방문진과 MBC에게 참고 견딜 수 없는, 현저히 곤란한 손해가 생긴다고 보기 어렵고, 감사 결정의 집행을 정지할 경우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기각했다. 법원은 또 감사원의 자료 제출 요구 등 감사에 응하지 않으면 형사 처벌될수 있지만 이는 향후 본안 소송을 통해 소급해 해소될 수 있다
-
언론현업 4단체, 수신료 분리징수 방송장악 음모라며 중단을 촉구
언론현업단체들이 공동 성명을 내고 정부가 단기간에 밀어붙이는 수신료 분리징수를 당장 중단할 것으로 촉구했다.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영상기자협회는 공동성명에서 정부는 공영방송을 정권의 나팔수로 만들기 위한 수신료 분리징수 공작 벌이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 언론현업단체들은 한전의 전기요금 고지서에 합산해 징수해왔던 TV수신료 제도는 헌법재판소가 행정부가 아닌 국회가 수신료 징수 절차에 결정권을 가진다고 결정했다며 이번
-
동아일보, 2년 연속 정부 광고료 1위
동아일보가 지난해 정부 광고료가 가장 많이 집행된 신문사로 밝혀졌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 광고 집행현황에 따르면 동아일보는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신문사 가운데 가장 많은 정부 광고료가 집행됐다. 동아일보는 2021년과 2022년 정부 광고료가 각각 88억 2700만 원, 90억 200만 원(증가율 2%)이다. 2위는 중앙일보로 2022년 78억 100만 원(1.4% 증가)의 정부 광고료가 집행됐다. 3위인 조선일보는 전년도 대비 지난해 10
-
EBS, 수신료분리 징수시 수입 70% 감소 공적책무수행에 막대한 지장 받아
교육방송 EBS는 TV수신료 분리 징수시 수입의 70%가 감소해 공적 역할이 크게 후퇴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EBS는 공적 재원 마련에 대한 대안 없이 수신료 수입이 감소되면 공적 책무 수행에 막대한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EBS는 현재 전체 TV수신료의 3%인 연간 194억원을 배분받고 있다. EBS는 TV수신료 분리징수가 시행될 경우 배분액이 140억원(70%)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EBS는 전체 예산 중 70% 이상을 교재 판
-
국내 언론사 신뢰도 1위에 MBC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조사
MBC가 국내 언론사 중 신뢰도가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내 언론 신뢰도는 28%에 불과했다.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3>에 따르면 MBC는 조사 대상 15개 매체 중 58%로 가장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매체별 신뢰도는 MBC에 이어 KBS와 YTN이 각각 55%, SBS 53%, JTBC 52%, 연합뉴스TV 38%, 한겨레 40%, 채널A·MBN 39%, 경향신문 37%, TV조선·
-
2022년도 언론중재위 조정에 정치인 신청이 가장 많아
2022년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치인이 가장 많이 조정신청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언론중재위에 모두 3175건의 조정신청을 했는데 이 가운데 개인이 신청한 1699건을 직업별로 분석한 결과, 정치인 신청이 258건으로 가장 많았다. 언론중재위의 2022년도 언론조정중재 사례집에 따르면 개인이 신청한 조정사건 1699건 중 정치인 258건(15.2%), 개인사업가 160건(9.4%), 회사원 154건(9.1%), 공무원 144건(8.5%), 교육자 11
-
대다수 방송사, TV 황금시간대에 시각장애인 위한 화면해설 방송 없다
방송사들이 표면적으로는 장애인 의무편성비율을 지키고 있지만 주시청시간대가 아닌 심야와 낮 시간대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을 해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장애인 방송 편성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화면 속 상황을 음성으로 해설해주는 방송)의 95.6%가 주시청시간대가 아닌 심야와 낮 시간대에 편성됐다. 주시청시간대는 평일 오후 7시부터 11시, 주말 및 공휴일 오후 6시부터 11시까지로 ‘황금 시간대’라 불
-
지난해 IPTV 업계를 제외한 모든 방송사업자 영업이익 감소
지난해 전체 방송사업자 매출은 전년도에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IPTV업계를 제외한 모는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상파, 유료방송, PP 등 357개 방송사업자의「2022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공표하였다.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21년 대비 5,118억원(2.6%) 증가한 19조 9,137억원이다. IPTV는 2,577억원 증가한 4조 8,945억원, 지상파는 1,669억원 증가한 4조 1,551억원, PP